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자바스크립트
- useCallback
- 렌더링
- Front-End
- 타스
- react router dom v6
- Interface
- 타입스크립트
- Next.js
- 배칭
- TypeScript
- router dom
- 리액트
- rendering
- mapped types
- lifting state up
- react code splitting
- 렌더링 동작원리
- JavaScript
- react rendering
- state 최적화
- useMemo
- 리액트 코드분할
- NextJS
- React
- TS
- 자동 배칭
- 고급타입
- 상태 끌어올리기
- 프론트엔드
- Today
- Total
목록도서 (16)
서녕이네 개발단지

[CHAPTER 5]. 자료 구조 [SECTION 5.1] - 복잡도 5.1.1 시간 복잡도 - 복잡도는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로 나뉜다. -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을 평가할 때 사용된다. - 알고리즘은 여러 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행시간은 짧고, 공간은 적게 차지하는 더 효율적인 알고리즘이 어떤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. 빅오 표기법 시간 복잡도란 '문제를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'를 가리킨다. 쉽게 말해서 알고리즘의 로직이 '얼마나 오랜 시간'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. 👉🏻 ~ 이걸 보통 빅오 표기법으로 나타낸다! 빅오 표기법이란? - 입력 범위 n을 기준으로 해서 로직이 몇 번 반복되는지 나타내는 것이다. - 시간복잡도 표기법은 빅오메가,빅세타,빅오 이렇..

[SECTION 4.2] - ERD와 정규화 과정 - 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가장 기초적인 뼈대 역할을 하며, 릴레이션 간의 관계들을 정의한 것이다. - 만약 서비스를 구축한다면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할 부분이다. 4.2.1 ERD의 중요성 - ERD는 시스템의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작성되며 이 ERD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. -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이후에도 디버깅 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설계도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. 단점? - 하지만 ERD는 관계형 구조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 유용할 수 있지만 *비정형 데이터를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. *비정형 데이터 : 비구조화 데이터를..

[CHAPTER 4]. 데이터베이스 [SECTION 4.1] -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- 데이터베이스는 일정한 규칙, 혹은 규약을 통해 구조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의 모음이다. -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제어,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을 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라고 하며,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데이터들을 특정 DBMS마다 정의된 쿼리 언어를 통해 삽입, 삭제, 수정, 조회 등을 수행할 수 있다. ❗️또한,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 접근과 동시 공유가 가능하다. ☝🏻위의 그림처럼 데이터베이스 위에 DBMS가 있고 그 위에 응용 프로그램이 있으며,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. 4.1.1 엔터티 엔터티(entity)란? - 사람, 장소, 물건, 사건, 개념 등 여러 개의 ..

[SECTION 3.4] -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CPU 스케줄러는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프로세스에서 해야 하는 일을 스레드 단위로 CPU에 할당한다.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는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어떤 프로그램에 CPU 소유권을 줄 것인지 결정한다. 이 알고리즘은 CPU 이용률은 높게, 주어진 시간에 많은 일을 하게, 준비 큐(ready queue)에 있는 프로세스는 적게, 응답 시간은 짧게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3.4.1 비선점형 방식 비선점형 방식(non-preemptive)이란? - 프로세스가 스스로 CPU 소유권을 포기하는 방식이며, 강제로 프로세스를 중지하지 않는다. 👉🏻 따라서 컨텍스트 스위칭으로 인한 부하가 적다. FCFS FCFS(First Come, First ..